[전산세무] 전산세무 이론 및 실기 헷갈리는 부분 정리1. 재무회계
전산세무를 공부하다보면 계속 생각이 안나거나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네요. 그런 부분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계정과목(대차대조표) [자산] 유동자산에 당좌자산, 재고자산이 있고, 비유동자산에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이 있다. 임차보증금은 기타비유동자산이다. 미수금, 선급금, 선급비용, 선납세금, 미수수익, 가지급금은 당좌자산이며, 유동자산, 자산이다. 자산의 증가, 감소다. [부채] 미지급금, 미지급세금, 선수금, 예수금, 선수수익, 미지급비용은 유동부채, 부채다. 부채의 증가, 감소임. [자본] (자본잉여금) 주식발행초과금 / 감자차익 / 자기주식처분이익 (자본조정) 주식할인발행차금 / 감자차손 / 자기주식처분손실은 서로 상계처리한다. 미교부주식배당금은 자본조정이다. 매도가능증권..
2021. 2. 11.
[전산세무] 소득세, 이자소득, 배당소득의 수입시기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은 분리과세를 기본으로 하고 2,000만원이상의 소득시에는 종합과세로 전환됩니다. 소득세법 시행령에서는 이자소득의 수입시기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1. 이자소득수입시기(소득세법시행령 제45조) 일반적으로는 이자를 지급받은 날이지만, 몇가지 사례에는 약정에 의한 지급일이 있습니다. (기명채권, 직장공제초과반환금, 환매조건부, 유형별 이자소득, 비영업대금의 이익) 소득세법 제16조 1항 1호부터 11호까지의 소득과 유사한 소득으로서 금전의 사용에 따른 대가의 성격이 있어 이자소득으로 보는 소득, 이자소득의 발생하는 상품과 결합된 파생상품의 이익 약정에 의한 상환일. 다만, 기일전에 상환하는 때에는 그 상환일 채권 등으로서 무기명인 것의 이자와 할인액 그 지급을 받은 날 채권 등으로서 기명인 ..
2021. 2. 6.
[전산세무] 소득별 원천징수 세율표 (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근로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퇴직소득/양도소득)
오늘은 소득별 (원천징수) 세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세 대상 소득에는 이배사 근연기 퇴양, 즉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이 있는데요. 여기서 원천징수되는 소득은 이자, 배당, 근로, 연금, 퇴직소득 등이 있고, 사업소득과 양도소득은 원천징수하지 않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득구분 기본세율 기타세율 이자소득 14% (지방소득세를 반영하면 14%*1.1 = 15.4%입니다.) 비영업대금의 이익 = 25% 비실명거래의 이익 = 42%(최고세율 적용) 비실명, 금융거래위반의 이익 = 90%(금융실명법 제5조 차등과세) 직장공제회 초과반환금¹ 배당소득 14% 출자공동사업자의 배당소득 = 25% 비실명거래의 이익 = 90% ..
2021.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