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경제53

[친절한 경제] 주식시장의 지수들은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8.26. 주식시장의 지수들은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1) 주가지수를 만들어서 오늘의 주식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 일종의 평균점수 2)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대표종목 30개의 주가 평균만 보는 지수. 단순하게 다 더해서 30으로 나눔. 1000달러 짜리, 10달러 짜리 주식 전부 산술평균한다. 3) S&P500: 500개 종목 뽑아서 만든 지수 4) 나스닥: 나스닥 상장된 전체 종목 평균해서 만든 지수 2020. 9. 17.
[친절한 경제] 투잡을 들키지 않으려면?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8.28. 투잡을 들키지 않으려면? 1) 두 회사에서 받는 월급이 합쳐서 480만원이 넘으면, 회사에서 알게 된다. 2) 국민연금은 월급의 9%으로, 43만원/월로 제한되어 있다. 3) 월급을 2곳에서 받으면 국민연금도 2곳에서 떼고, 43만원이 넘으면 각각 회사에 국민연금공단에서 알려주게 된다. 4) 자영업을 하고, 1명이라도 직원을 쓰면 국민연금을 가입해야 하는데 이 경우도 43만원이 넘으면 국민연금공단에서 통지가 간다 [친절한 경제] 국민연금이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 괜찮을까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7.10. 국민연금이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 괜찮을까요? 1) 갖고 있는 채권, 주식, 빌딩등을 매각해야 하는데 2) 국민.. 2020. 9. 17.
[친절한 경제] 자녀명의 통장에 돈을 넣어주면 증여세를 내나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8.31. 자녀명의 통장에 돈을 넣어주면 증여세를 내나요? 1) 일정한 금액(2천만원)이 넘으면 뭘하든 증여세를 내야 한다. 2) 증여세는 증여를 받은 자녀가 내야 하는데, 부모가 증여세를 내는 경우가 많은데 증여세의 증여세도 내야 한다. 3) 세무 관행상 증여세의 증여세까지 정도만 낸다 4) 2천만원 이하로 증여(펀드)를 했더라도 미리 신고하는게 좋다. 나중에 재산이 늘어났을때 문제가 된다 5) 매년 2천백만원 증여해서 백만원의 증여세만 내고 증거를 남겨놓는 방법을 쓰는 부모들이 있다 2020. 9. 17.
[친절한 경제]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1) 상장하면 주주들 전화오고, 공시하고 귀찮은 일이 생긴다 2) 상장하면 회사가 돈 필요할때 주식 발행해서 자금 조달이 용이하다. 상장 안해도 돈이 빠방하면 굳이 할 필요도 없다. 3) 기왕 상장할 거 상장 시기를 조절하는 회사도 있다. [친절한 경제] 주식의 액면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2. 주식의 액면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1) 액면가는 처음에 그 회사가 창업할 때 종잣돈을 냈던 주주들이 1주당 얼마를 내서 사업을 시� gslow.tistory.com 2020. 9. 17.
[친절한 경제] 주식의 액면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2. 주식의 액면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 숫자인가요? 1) 액면가는 처음에 그 회사가 창업할 때 종잣돈을 냈던 주주들이 1주당 얼마를 내서 사업을 시작했느냐를 나타내는 것 2) 지금의 회사 가치와 무관하다. 이 주식은 500원짜리로 발행했었나보다, 그렇게 생각하면 됨. 처음 태어났는데 몇kg로 태어났는지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3) 액면가를 모르고 주식을 사도 상관없고, 미국은 액면가 자체가 없다. [친절한 경제]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1) 상장하면 주주들 전화오고, 공시하고 귀찮은 일이 생긴다 2) 상장하면 회.. 2020. 9. 17.
[친절한 경제] 국가부채는 언제까지 갚아야 되는 건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4. 국가부채는 언제까지 갚아야 되는 건가요? 1) 국가부채를 갚아야 되나, 안 갚아도 되나 아무도 알 수 없다 2) 만기 돌아올때마다 이자를 주면되지 부채의 양을 줄일 필요는 없다는 인식도 있다 3) 정부에 대한 믿음만 유지되면 일본처럼 부채는 계속 늘어나도 된다 2020. 9. 17.
[친절한 경제] 전세는 왜 한국에만 있나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7. 전세는 왜 한국에만 있나요? 1) 전세는 너무 위험한 제도임 - 4억집에 3억 전세인데 집값이 2억이 되면, 세입자는 3억을 받을 수가 없음 - 세입자가 집 비운 사이에 집주인이 다른 사람에게 매도해버리면 세입자는 보호받을 수가 없음 - 집주인이 집담보 대출에 대해 대응할 수 없음 2) 어쩌다보니 우리나라는 전세제도가 자리잡은 것 - 우리나라는 세입자보호하는 등기제도가 있어서 그나마 안전한 것 - 어쩌다보니 그렇게 된거고 정부가 제도로 뒷받침해줘서 자리잡은 것.(전세세입자 보호제도) 2020. 9. 17.
[친절한 경제] 달러가 약세가 되면 왜 신흥국으로 투자금이 몰리나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8. 달러가 약세가 되면 왜 신흥국으로 투자금이 몰리나요? 1)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는 달러가치가 떨어지면 좋아한다. 2) 외채를 달러로 빌려서 쓰고 달러로 갚아야 하는데 기업들의 부채부담이 줄어든다. 3) 달러가 약세가 되면 달러를 들고 있다는 것 그 자체로 손해를 볼 수 있다. 4) 그래서 글로벌 자금을 신흥국 화폐로 바꿔서 들고 있는게 유리하다. 2020. 9. 17.
[친절한 경제] 저금리 시대에는 성장주가 좋은 이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9. 저금리 시대에는 성장주가 좋은 이유? 1) 고금리시대에는 고위험주식이 매력적이지 않음 2) 꿈을 먹는 주식은 시중이자율이 낮으면 어차피 은행에 돈이 안되니까, 훨씬 매력적으로 다가옴 3) 금리가 높으면 높은이자를 포기할만큼 기회비용이 크고, 금리가 낮으면 예금으로 묵혀둘 이유가 없어서 성장주의 매력이 높아진다는 것 [친절한 경제]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 주식시장에 상장하지 않는 회사는 왜 안하는 건가요? 1) 상장하면 주주들 전화오고, 공시하고 귀찮은 일이 생긴다 2) 상장하면 회사가 돈 필요할 gslow.tistory.com 2020. 9. 17.
[친절한 경제] 시중에 자금이 풀리고 있다는데, 돈은 어떤 경로로 풀려 나오나요?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3. 시중에 자금이 풀리고 있다는데, 돈은 어떤 경로로 풀려 나오나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는데, 1) 한국은행같은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서 정부에게 주고 정부에서 재정정책을 집행하는 것 2) 또는 은행대출, 세상에 없던 돈을 만들어서 은행이 대출하는 것 으로 시중에 자금이 풀려집니다. 2020. 9. 17.
[친절한 경제] 대출금리가 마이너스라는게 어떻게 가능하죠?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4. 대출금리가 마이너스라는게 어떻게 가능하죠? 1) 유럽중앙은행이 경제활성화를 위해서 일선은행들이 대출을 하지 않으면, 1억원당 50만원의 벌금부과 2) 은행들은 부실기업에 대출해서 미회수손실을 얻는 것보다 벌금 내는 것이 싸다고 생각하고 대출을 여전히 주저함 3) 신용도 높은 우량기업의 경우, 너도나도 대출하고자 하면서 1억원당 6만원의 이자를 주면서 마이너스 금리 대출이 이뤄짐 4) 1억원당 6만원의 이자를 주면서 대출하는 것이 1억원당 50만원의 벌금을 받는 것보다 싸게 먹힘 2020. 9. 17.
[친절한 경제] 미국회사 주주총회에 참석하려면?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5. 미국회사 주주총회에 참석하려면? 1) 우리가 해외주식을 직접사는 게 아니라 대행증권사가 주식을 사는 것 2) 주식은 미국예탁결제원에 있고, 주주명부만 계속 바뀌는 것 3) 주식을 가지고 있는 미국회사에 이메일이나 전화로 대행증권사를 통해 거래중이라고 하고, 주주총회초대장을 달라고 신청해야한다. 2020. 9. 17.
[친절한 경제] 고기 중에 소고기가 제일 비싼 이유는? (소, 돼지, 닭고기)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친절한 경제] 20.9.16. 고기 중에 소고기가 제일 비싼 이유는? 1) 80% 이상의 원가를 차지하는 사료투입대비 고기생산량 기준으로 가격이 매겨지기 때문 2) 고기 1Kg을 만들기 위해 소는 20Kg, 돼지는 7Kg, 닭은 2Kg의 사료가 필요하다. 2020.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