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모음/ㄴ투자

투자이야기 [6] 적립식 투자로 적합한 TDF, 하나로 줄이기

by Life matters 2025. 11. 7.

TDF

 

아무래도 어렵다.

목표는 적립식 투자인데, 뭣도 모르고 시작을 하다보니까..TDF도 여러개를 사두었다.그럴 필요는 없지만, 각각을 공부하면서 줄여갈 생각이었는데, 어느새 종목이 30개가 되어버려서 중복되는 것들은 하나씩 정리를 해서 장기 적립식 투자를 해보려고 한다.

 

어쩌다 보니 TDF만 5개 ㅡㅡ;

 

미래에셋 전략배분 TDF 2045 혼합자산자투자신탁 C-Pe
TIGER TDF2045
우리다같이TDF2045증권투자신탁(혼합-재간접형)ClassC-Pe
삼성한국형TDF2050증권투자신탁UH[주식혼합-재간접형]_Cpe(퇴직연금)
미래에셋전략배분TDF2045혼합자산자투자신탁 종류C-P2e

 

정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개별 TDF의 특징을 비교 분석해봤다.

 

TDF 비교 분석

당신의 목표(최소 10년 적립식 투자, 연 7% 수익 추구)에 맞춰 위 5개 TDF를 비교했다.

 

기준은 2025년 11월 현재 데이터로, 주요 포인트는 수익률(최근 3개월, 장기 추정), 수수료(총보수 연율), 자산 배분(현재 주식/채권 비중), 규모(순자산), 적합성(적립식 관점).

 

TDF는 모두 2045년(또는 2050) 목표로 초기 주식 비중이 높아(70-80%) 장기 성장에 적합하지만, 자동 리밸런싱으로 위험을 점진 감소한다.

 

TDF 이름 3개월 수익률 장기 연평균 수익률 추정(설정 후) 총보수(연$) 자산 배분(현재) 순자산(백만원) 적립식 적합성
미래에셋 전략배분 TDF 2045 C-Pe 12.23% 8-10% (액티브 전략 기반) 1.28% 주식 75% / 채권 25% (글로벌 4전략: 자본수익+인컴 등) 264 높음: 액티브로 시장 적응력 좋음, but 수수료 부담.
TIGER TDF2045 (ETF) 9.81% 7-9% (패시브 S&P500 중심) 0.19% 주식 79% / 채권 21% (미국 중심, 점진 감소) N/A (ETF, 거래량 높음) 최고: 초저비용+자동화, 10년 DCA에 최적.
우리다같이 TDF2045 Class C-Pe ~8-9% (유사 TDF 기준) 6-8% (재간접형) 0.8-1.0% (미징구) 주식 70-80% / 채권 20-30% (글로벌 조절) N/A (보고서 기준 중소) 중간: 안정적 but 데이터 부족, 보수적.
삼성한국형 TDF2050 Cpe (퇴직연금) 7.50% 6-8% (한국형 생애주기) 1.05% 주식 70% / 채권 30% (국내+글로벌, 2050 목표) ~1,700 (기준가 기준) 중간: 퇴직연금 특화, but 한국 중심으로 변동성 ↑.
미래에셋 전략배분 TDF2045 C-P2e 9.20% 8-9% (퇴직연금 특화) 1.05% 주식 75% / 채권 25% (C-Pe와 유사, ETF 기반) 138,254 높음: 대형 규모로 유동성 좋음, but C-Pe 대비 약간 낮음.

 

*데이터 출처: 미래에셋/삼성자산운용 공식 사이트, 펀드닥터 등 (2025년 10월 기준).

장기 수익은 설정 후 누적 평균 추정(세전, 시장 변동 반영).

위험등급: 모두 3등급(다소 높음).

 

여러 AI를 돌려보고 AI가 추천하는 TDF는 Tiger TDF2045로 정해졌다.

 

TIGER TDF2045

 

추천: TIGER TDF2045

  • 이유:
    • 저비용 우위: 연 0.19% 보수로 장기 적립식에서 복리 효과 극대화. 10년 투자 시 수수료 누적 부담이 미래에셋(1%대) 대비 5배 이상 적음 – 목표 7% 달성에 핵심.
    • 패시브 전략 적합: S&P500 중심으로 미국 성장 노출 높아(현재 주식 79%), 10년 DCA(달러 코스트 평균화)에 안정적. 자동 자산 조정(2045년까지 주식 ↓, 채권 ↑)으로 관리 부담 없음.
    • 최근 성과: 3개월 9.81%로 안정적, 2025년 상장 후 빠른 성장(미래에셋 그룹 강점 활용).
    • 위험 관리: 변동성 10-15%로 목표에 맞음. 퇴직연금 계좌 호환 가능.
  • 대안: 만약 액티브 선호(더 높은 잠재 수익)라면 미래에셋 C-Pe (12.23% 최근 강세, 글로벌 다각화). C-P2e는 퇴직연금 전용으로 규모 크지만 수익/비용 균형에서 TIGER에 밀림. 삼성/우리는 한국 중심으로 환율 리스크 ↑.

 

퇴직연금에서 반영하고 있는 것인데, 이 자산을 추천하고 비교분석을 해보니 어차피 동일한 TDF인데 연 보수가 낮고 10년 이상 적립식으로 하는데 무리 없을 듯하여 해당 TDF만 남기고 다른건 다른 자산 배분으로 가려고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