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미국, 중국, 한국 주식 비중 확대/축소 여부 및 이유
국가/시장 | 비중 조절 의견 | 주요 이유 |
미국 주식 | 축소 (AI 테마 노출도 축소 및 분산 투자 권고) |
- 인플레이션 재상승 우려: 관세 인상의 후행적 효과와 금리 인하 효과로 인해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 인플레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 AI 테마 쏠림 및 버블론: AI 관련 주식에 대한 투자 쏠림이 심하며, 단기적으로 수익성 논란에 직면하고 있어 버블론 속에서 노출도를 줄일 필요가 있음. - 밸류에이션 부담: 미국 증시의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고 관세 인상의 부정적 영향도 불가피함. |
중국 주식 | 확대 |
- 우호적 유동성 환경: 중국은 디플레이션 압박이 지속되어 저금리 및 유동성 팽창 정책 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증시 유동성 여건에 우호적입니다.
- 증시 리레이팅 국면: 우호적인 정책 및 유동성 환경 속에서 리레이팅이 진행 중입니다. - 기술주 중심 투자: IT, AI, 배터리 등 기술주를 중심으로 투자할 것을 추천하며, 이는 저금리 기조에서 성장주 스타일이 강세를 보이는 양상과 기술 패권 경쟁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 때문입니다. |
한국 주식 | 선호 의견 유지 (정책 뒷받침 확인 필요) |
- 정책 뒷받침 확인 필요: 가파른 주가 상승 이후 추가적인 정책 뒷받침 확인이 필요한 구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이익 성장 확실성 확보: 이익 성장세에 확실성이 높은 조선, 방산, 뷰티, 증권업 등에 대한 선호 의견을 유지합니다. |
2. 추천 ETF 분석 (글로벌 자산배분 ETF 포트폴리오)
ETF 종목명 | 테마 분류 | 투자 의견/설명 |
Global X Uranium (신규) | 우라늄 |
신규 편입. 인플레이션 헤지 및 AI 버블론에 대비한 분산 투자 목적입니다.
원자재이면서 산업 성장(원전 수요 증가) 스토리가 뒷받침되는 자산군으로 긍정적 관점입니다. |
Aberdeen Standard Physical Gold Shares | 금 (Gold) |
비중확대 의견 유지. 인플레이션 헤지 전략을 강화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산군입니다.
금 채굴기업 ETF(GLDX 등)와 함께 투자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Global X Hang Seng Tech | 중국 기술주 |
중국 증시 비중 확대를 위한 주요 투자 수단 중 하나로, 중국 IT 테크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
Global X China Biotech | 중국 바이오 |
중국 증시의 기술주 순환매와 성장주 스타일 강세를 활용하기 위한 투자 수단입니다.
|
VanEck Rare Earth and Strategi | 희토류 |
원자재이면서 산업 성장 스토리가 뒷받침되는 자산군(희토류 및 전략 금속 기업)에 대한 긍정적 관점을 반영합니다.
|
Global X FDS Defense Tech | 방산 |
한국 증시 선호 업종 중 하나인 방산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미국(57.9%), 영국, 독일, 한국(6.3%) 등 글로벌 방산 관련 산업재 기업에 투자합니다. |
Global X Artificial Intelligence & Technology | AI 특화 |
빅테크 위주 AI 관련 기업에 투자합니다.
AI 테마의 단기 수익성 논란을 경고하며 분산 전략을 제시하지만, AI는 장기 성장 초입으로 평가합니다. |
3. 보고서 정리 후 투자 포트폴리오 변경
IT/TECH
알파벳 A - 구글/안드로이드/제미나이는 견고할 것 같음.
AT&T - 통신은 무너지지 않는다.
KraneShares Hang Seng TECH Index ETF - 중국 테크도 살짝.
ETF 기본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 - S&P 고배당은 기본
JP 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 JP모건의 고배당 ETF
GLOBAL X MSCI superdividend japan etf - 일본 고배당 ETF
에너지
엑슨모빌 - 에너지는 기본이고 기반이다.
엔브리지 - 파이프라인 소유 및 운영(에너지 인프라)
제약
화이자 - 기본
투자
버크셔 해서웨이B - 기본
방산
Global X FDS Defense Tech - 글로벌 갈등 격화
반응형
'정보모음 > 경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10월 16일)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3748.37로 이틀 연속 갱신하며 마감했습니다. (0) | 2025.10.16 |
---|---|
통신사업의 강점과 단점, 증시전망 (0) | 2025.10.15 |
'이런 보험' 절대로 들지 마세요 "부자 되려면 당장 해지해야 할 보험 1순위 이겁니다" #김경필 #돈쭐남 #보험 (0) | 2025.09.18 |
돈쭐남, 김경필, 프리랜서의 통장정리 다시하라 (0) | 2025.09.18 |
예적금만 모으면 안 되는 이유, 머니인사이드 (4) | 2025.09.17 |
댓글